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sonar-qube
- RPA
- docker
- MaxGauge
- Xen
- UIPATH
- gitlab-runner
- UiARD
- Shell
- PostgreSQL
- container-registry
- gitlab
- runner
- UiPATH #UiRPA #RPA
- Git
- Oracle
- gitlab-ci
- Today
- Total
올챙이시절 기록소
일단 파일 부터 구합니다 XenServer DownLoad 실습환경으로는 Oracle Virtual Box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* Oracle Virtual Box 내 설정사항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습니다 여기 이하부터는 실서버에 설치하는 것과 동일하다 인스톨 첫 화면 엔터를 한 번 쳐줍니다 조금 시간이 걸립니다 키보드 세팅 US로 설정합니다 중요한 데이터는 백업하라고 합니다 없으므로 OK 정책 동의 - Accept EULA 엔터 오라클 가상머신에서 실행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경고문 ( 실서버 설치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걸로 기억 ) 하드디스크 선택 하나만 있으면 문제가 없습니다 thin provisioning 꼭 체크! ( 1TB 하드지만 10TB 처럼 쓸 수도 있다 ) * 2개 이상인 경우는 ..
Xen을 쉽게 설명하면 1대 컴퓨터를 여러 대처럼 사용하는 기술이다. 핵심은 "하이퍼바이저, 반가상화" 이다 꼭 알아두자. ( Open Source 란 것도 ) Xen은 하이퍼바이저다 Xen은 반가상화 기술이다 * 하이퍼바이저 :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 체제(operating system)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(platform) * 전가상화 vs 반가상화 Open Source 기술이며 무료로 쓸 수 있다 ( 유료회원은 자동 업그레이드 및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긴하다 ) 때는 호랑이가 담배피던 시절 Test 환경으로 Desktop 5대가 있었다 한 대는 윈도우, 세 대는 리눅스 마지막 한 대는 레드마인용 9명의 팀원이 공용으로 같이 쓰다보니 엉망이었다 ( 결함의 원인을 다른 제품 ..
형상관리에는 여러가지 활동이 있는데 그 중 형상항목 식별에 대한 내용이다. SW 개발활동에 산출물 중 어떤 것을 관리할지 선택하는 활동이 "형상항목 식별"이다 * MFO SCM 정책문서중 발췌 ( 지금은 더 관리대상이 많아지고 제외되거나 내부적으로 책임소재가 옮겨간 것들이 있다 )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제품의 소스코드를 관리하자 그 후 빌드스크립트, 메뉴얼, 기획스펙, 디자인스펙 등 관리대상의 저변을 넓혀가면 좋을 것이다 * 필요한 산출물이 없는경우는 담당자에게 요구를 하고 관련 관리방법이나 체제는 만들고 보완해 나가자